관공서나 은행에서 "서류 팩스로 보내주세요"라는 말을 들었을 때, 집에 팩스가 없어 당황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팩스를 보내기 위해 문구점을 찾아 헤매던 불편함은 이제 옛날이야기입니다. 인터넷만 된다면 내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바로 팩스가 되는 '온라인 팩스' 시대니까요. 기계도, 전화선도, 종이도 필요 없는 스마트한 팩스 활용법,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
온라인 팩스, 아직도 낯설으신가요?
온라인 팩스(인터넷 팩스 또는 웹팩스)는 인터넷을 통해 팩스를 주고받는 서비스입니다. 기존 팩스기와 비교하면 장점이 훨씬 많죠.
구분 | 일반 팩스 | 온라인 팩스 |
---|---|---|
필요 장비 | 팩스 기계, 전화선, 용지, 토너 | PC 또는 스마트폰 |
사용 장소 | 기계가 설치된 곳에서만 가능 | 인터넷이 되는 어디서나 가능 |
보관/관리 | 종이 문서 보관, 분실/훼손 위험 | PDF 파일로 자동 저장, 검색/관리가 편리 |
비용 | 기기 구매, 전화 요금, 소모품 비용 | 장당 요금 또는 저렴한 월정액 |
온라인 팩스, 어떻게 사용하나요? (초간단 3단계)
U+웹팩스, 하나팩스, 엔팩스 등 여러 서비스가 있지만 사용법은 거의 비슷합니다. 대표적인 사용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비스 가입 및 팩스 번호 받기
원하는 온라인 팩스 사이트에 접속해 간단한 회원가입을 합니다. 가입 과정에서 나만의 '팩스 수신 번호'를 부여받거나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번호가 이제 나만의 개인 팩스 번호가 됩니다.
2. 팩스 보내기 (발신)
서비스에 로그인한 뒤 '팩스 보내기' 메뉴를 누르고, 상대방 팩스 번호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PC에 저장된 문서 파일(PDF, HWP, DOC, JPG 등)을 첨부하고 '전송' 버튼만 누르면 끝! 대부분의 서비스는 신규 가입 시 무료로 몇 장 보낼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니 활용해보세요.
3. 팩스 받기 (수신)
누군가 내 팩스 수신 번호로 팩스를 보내면, 해당 서비스 서버에서 팩스를 수신하여 PDF 파일로 자동 변환합니다. 변환된 파일은 내 이메일로 도착하거나, 서비스 사이트의 '받은 팩스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온라인 팩스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을 지원합니다. 앱을 설치하면 스마트폰으로 신분증이나 서류를 바로 찍어서 팩스로 보내거나, 받은 팩스를 휴대폰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합니다.
그래서, 어떤 서비스를 선택해야 할까?
서비스 선택은 나의 '사용 빈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가끔 한두 번만 보낸다면? 회원가입 시 무료 발신 포인트를 넉넉하게 주는 서비스를 찾아 이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입니다.
- 꾸준히 팩스를 받아야 한다면? 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처럼 수신이 중요하다면, 월 1,000~2,000원대의 저렴한 요금제로 '수신 번호'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팩스 '수신' 번호는 보통 월정액 요금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료 회원 상태에서는 부여받은 수신 번호가 일정 기간 후에 회수될 수 있으니, 사업자 등 꾸준히 팩스를 받아야 한다면 반드시 유료 요금제를 사용하여 번호를 유지해야 합니다.
온라인 팩스 사용법 요약
자주 묻는 질문
더 이상 팩스 때문에 발을 동동 구를 필요가 없습니다. 오늘 바로 온라인 팩스 서비스에 가입하고, 필요할 때 언제든 스마트하게 문서를 주고받아 보세요!